티스토리 뷰

목차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중앙에 있는 척추관이나 신경근관 혹은 추간공이 어떤 원인에 의해 좁아지게 되어 허리 통증이나 다리에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요추 부위에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이 질병은 요추척추관협착증(요추척추관협착증)으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러한 협착이 경추 부위에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경추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이 질병으로 발생하는 증상과 치료방법에는 무엇이 있고 수술은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이 일어나는 이유

    척추 뼈 사이에 있는 탄력적인 추간의 조직을 추간판(디스크)이라고 합니다. 보통 내부는 부드러운 속질핵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는 단단한 섬유륜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0세 이후에는 속질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추간판이 척추에 붙어 있던 부위가 떨어져 나가 골극(가시 모양의 뼈 돌출부)이 형성됩니다. 동시에 척추관을 구성하는 후방관절돌기, 추판, 황색인대 역시 퇴화되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앞, 뒤, 왼쪽 모든 방향으로 좁아지고 척추가 앞이나 뒤로 휘어지게 되며, 척수와 신경뿌리를 직접 눌러 혈류 장애를 일으켜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퇴행성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운동을 많이 하는 요추와 경추에 많이 발생하지만 흉추에는 드물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척추관 협착증은 환자의 증상을 토대로 척추관협착증이 의심될 경우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게 됩니다. 주로 척추전방전위증(척추몸통이 아래쪽보다 앞으로 밀려 나옴)과 퇴행은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으나, 척추관이 좁아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척추 자기 공명영상촬영, 척추 전산화단층촬영, 척수 조영술 등을 시행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증상

    요추협착증의 경우에는 허리통증이 자주 발생하는데, 요추추간판탈출증과 다르게 엉덩이나 항문에 찌르는 듯한 통증, 쥐어짜는 듯한 통증, 타는 듯한 통증이 동반되며, 다리에 감각 장애와 근력 약화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추운 기후 또는 신체 활동을 할 때 대개 증상이 악화되고, 따뜻하게 하거나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자주 나타나고 심해지면 허리를 구부리고, 걷기를 멈추고, 쪼그려 앉고, 휴식을 취하면 사라지지만, 다시 걸으면 같은 증상이 반복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신경성 간헐적 파행이라고 하며, 협착증이 심해질수록 보행 거리가 짧아집니다. 대개 무릎이나 허벅지, 종아리, 발목, 엉덩이, 서혜부 등 넓은 부위에 감각상실, 따끔거림 등의 감각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괄약근 기능장애가 마지막에 나타납니다. 경추관협착증으로 인한 증상에는 신경조직의 손상된 정도에 따라서 주로 목 부위의 통증과 어깨와 팔의 통증, 양팔의 운동 및 감각 이상, 척수병증 등으로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목, 어깨, 팔의 신경근을 따라 나타나는 통증입니다. 대부분 50세 이후에 많이 나타나며,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지만, 외상이 발생하면 급격히 악화됩니다. 또한, 가벼운 다리 마비로 인해 보행 장애와 배뇨 장애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방법 및 수술

    척추관 협착증이 나타나면 가장 먼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휴식과 운동 제한이 포함되며, 약물 치료에는 항염증 진통제와 근육 이완제가 포함됩니다. 그 외에 교정기 착용, 온열요법, 초단파 요법, 마사지, 견인요법 등의 물리치료가 있으며, 급성 증상이 완화된 이후에는 등척성 굴곡운동(근육 길이의 변화 없이 긴장만 제공하는) 및 과신전 운동 등의 운동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근육 약화, 척수손상 증상, 말총증후군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감압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요추의 감압술은 두꺼워진 황반인대와 후관절 돌기 안쪽, 추간판을 충분히 절제하여 진행하는 감압술을 말합니다. 만약, 신경근병증이 발견되면 신경근이 눌리지 않도록 충분한 추간공 확장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절제 후 척추 불안정성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체간 골융합술이나 후외측 골융합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또한, 다양한 금속 내부 고정 장치를 사용하면 척추의 안정성을 높이고 기형을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뼈의 유합률을 높여 조기 보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경추의 경우에는 2~3개 부위 이하로 제한되는 경우 전방접근법을 이용하여 퇴행성 추간판과 골극을 제거한 후 충분히 감압한 후 골이식재를 삽입하여 골융합을 시행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척추 내 고정 금속 장치도 사용됩니다. 더불어, 여러 부위에 3개 이상의 병변이 발생한 경우에는 후방 접근법을 통해 후궁절제술이나 척추후궁성형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퇴행성질환은 일상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옮기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는 등 척추에 부담을 주는 활동은 척추에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올바른 척추 자세는 척추에 부담을 덜 주어 퇴행성 변화를 늦출 수 있으며, 체중을 조절하면 척추 퇴행도 늦출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이므로 무거운 물건을 옮기는 등 척추에 부담을 주는 활동을 피하고, 앉거나 서 있을 때 올바른 척추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더불어, 과도한 비만과 운동부족 역시 척추에 부담을 주거나 척추의 주변 근육을 약화시켜 퇴행성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