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결핵성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결핵균이 뇌척수막에 침입해 염증을 유발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결핵균은 체내에 결핵균이 있는 환자의 결핵균이 뇌 주변의 수막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결핵성 뇌수막염은 아직까지도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방법과 후유증 및 진단방법에 대해 알고있는 것이 좋습니다.
결핵성 뇌수막염의 발병원인
보통 결핵균이 신체에 침입하게 되면 폐에 감염을 일으킨 다음 인근 림프절로 이동합니다. 이때 결핵균은 혈액을 통해 이동합니다. 결핵성 뇌수막염은 혈류를 통해 이동하는 결핵균이 뇌수막이나 뇌 조직에 침투하여 다량의 결핵균이 존재하는 부위에 결절을 형성할 때 시작됩니다. 나중에 이 결절이 터지게 되면 다량의 결핵균과 끈적끈적한 삼출물이 지주막하 공간으로 흘러나와 뇌 밑바닥의 여러 구조물에 유착되어 뇌 기능 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뇌저부를 통과하는 크고 작은 혈관이 막히면서 뇌경색을 일으킬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결핵균이 체내에 침입하면 폐에서 감염을 일으킨 후 주변의 림프절로 이동합니다. 이때 결핵균은 혈액을 타고 이동합니다. 결핵성 수막염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던 결핵균이 뇌막이나 뇌 조직에 침투하고, 이 부위에 결핵균이 다량 존재하는 결절을 형성하면서 시작됩니다. 주로 알코올 중독과 당뇨병, 악성 종양 등 신체의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다양한 요인을 가진 환자에게 발생합니다. 특히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는 평생 동안 결핵성 뇌수막염에 감염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높으며, 대략 1/3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결핵성 뇌수막염의 증상 및 진단
결핵성 뇌수막염이 발생하게 되면 주로 초기에는 두통과 미열, 권태감, 졸음, 혼돈 등의 임상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진찰상 경미한 경추 자극이 관찰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결핵성 뇌수막염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이러한 증상이 세균성 뇌수막염에 비해서 다소 느리게 진행되어 약 1~2주 정도 지속된다는 점입니다. 만약, 결핵성뇌수막염이 만성적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뇌신경을 침범하는 징후(눈운동신경마비와 드물게 시각장애,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혼돈과 점차 심해지는 혼미, 혼수 등의 증상에 뇌신경 마비, 동공반사 이상, 두개내압 상승, 국소 신경학적 결손 등이 함께 동반되어 결국 사망에까지 이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늦지않게 발생 즉시 바로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결핵성 뇌수막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뇌척수액 검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항결핵제를 이용하기 전 뇌척수액 검사를 가장 먼저 실시하지만, 이 방법이 어려울 경우 항결핵제를 투여한 후 최대한 빨리 뇌척수액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세균유전검사나 세균배양검사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뇌척수액 검사에서 결핵균이 발견될 때도 있으나, 검사의 민감도가 높지 않으므로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결핵균은 뇌척수액을 현미경으로 검사하면 알 수 있지만, 이 검사는 그 수가 일정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세균을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진단 방법은 대개 며칠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다양한 임상 정보를 종합해 결핵성 뇌수막염이 의심될 경우 즉시 결핵 치료를 시작하고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핵성 뇌수막염의 치료 및 후유증
결핵성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약물 병용 요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보통 폐결핵에 항결핵제를 투여하는데, 이 경우 치료의 기간은 약 9~12개월 정도로 길게 진행됩니다. 환자가 여러 종류의 항결핵제에 내성이 있는 경우에는 2차 약물 중에서 뇌척수액 공간으로 이동이 잘되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주로 특별한 금지사항이 없을 경우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합니다. 이러한 결핵성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질병의 경과와 증상이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결핵성 뇌수막염 발생 초기, 즉 결핵균이 지주막하강 구조물에 부착되기 전이나 다른 신경학적 후유증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항결핵 치료를 시작하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핵성 뇌수막염에 의한 사망률은 여전히 높으며, 특히 유아와 노인의 경우 사망률이 더 높습니다. 또한 이미 혼수상태로 진행된 환자의 사망률은 약 50%에 달합니다. 더불어,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환자의 사망률은 약 21%로 이며, 생존자의 약 30%는 재발성 간질 발작, 청력 상실, 시각 및 안구 운동 장애 등 어느 정도의 후유증을 겪고 있습니다.